자격증안내

정보통신산업기사

개요

정보화의 가속은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함께 정보통신설비 및 기기에 대해 복합적인 기능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요구하였다. 이에 정보통신망의 구성, 정보통신시 설의 보전관리 등 정보통신실무 전반을 담당할 기능인력양성이 필요하여 자격제도 제정

영문명칭

Industrial Engineer Information Communication

변천과정

1991년 신설된 정보통신설비기사2급과 1995년 개정된 정보기계설비기능사1급(1974년 전 신전화기기능사1급으로 신설되어 1979년 유선통신기계기능사1급, 1991년 교환설비기능 사1급으로 개정된 후 1995년 정보기계설비기능사1급으로 변경), 그리고 1995년 신설된 정보통신설비다기능기술자가 1999년 정보통신산업기사로 종목통합.

수행직무

정보통신에 관한 제반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정보통신설비의 구축계획을 수립하고 설계, 시공, 감리, 운용 및 유지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정보통신설비 기술기준을 통해 정보통신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하고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직무

취득방법

  • 시 행 처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 관련학과 : 전문대학 및 대학의 전자통신공학, 정보통신공학, 정보통신과 등 관련학과
  • 시험과목
    • 필기 1. 디지털전자회로 2. 정보통신기기 3. 정보전송개론 4.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 실기 : 필답형
  •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복합형[필답형(1시간30분) + 작업형(3시간 정도)
  •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이상, 전과목 평균60점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출제경향

응시하고자 하는 종목에 관한 기술 기초이론지식 또는 숙련기능을 바탕응로 복합적인 기능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

진로 및 전망

통신기기 제조업체, 정보통신설비제작업체 및 공공기관, 정보통신설비를 공사·설치하 는 기업체 및 공공기관, 전기통신공사, 광통신회사, 데이터통신공사 등에 취업할 수 있다. -「정보통신산업통계연보」에 따르면 국내 정보통신사업체 수는 1994년 1,531개였던 것 이 1998년에는 2,164개로 증가세가 계속되고 있다. 기업에서 이용하는 정보통신시스 템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인터넷, 이동통신 이용이 증가하면서 정보통신설비 구성 에 대한 숙련된 기능인력의 수요도 함께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시스템 의 수리 및 유지·보수, 광케이블설치, 기지국 및 중계기 설치 등에 인력 수요가 예 상되는데 대부분의 업체에서 기능을 인정받은 자격증 소지자를 선호하고 있어 자격 증 취득시 취업이 유리한 편이다.

실시 기관명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기술자격본부

기관주소

https://www.cq.or.kr(KCA 기술자격본부)

무선설비산업기사

개요

라디오, 텔레비전 등 무선통신이 일상생활에 널리 보급되면서 무선통신에 관한 기술기 초이론 지식 및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복합적인 기능업무를 수행하 수 있는 전문인력 양 성이 요구됨에 따라 자격제도 제정.

영문명칭

Industrial Engineer Radio Telecommunication Equipment

변천과정

1974년 신설된 무선설비기사2급과 1995년 신설된 무선설비기능사1급이 1999년 무선통신 산업기사로 변경 1999년 10월 무선설비산업기사로 변경

수행직무

무선통신에 관한 기초이론지식 또는 기술을 바탕으로 각종 무선설비에 관한 시공 · 감리·공사·유지보수 및 검사 등 복합적인 기술·기능 업무를 수행하고, 무선설비 기술기준 및 안전시설기준을 통해 전파자원으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하는 직무

취득방법

  • 시 행 처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 관련학과 : 전문대학 및 대학의 전자통신공학, 정보통신공학, 정보통신과 등 관련학과
  • 훈련기관 : 일반사설학원
  • 시험과목
    • 필기 1. 디지털전자회로 2. 무선통신기기 3. 안테나개론 4. 전자계산기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 실기 : 무선통신 실무
  •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작업형(4시간정도)
  •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이상, 전과목 평균 60점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출제경향

회로구성 및 조립, 고장수리 및 동작시험 평가

진로 및 전망

전국의 무선국, 전기통신공사업체, 방송국, 이동통신업체, 레이더기지, 위성통신업 체, 항공회사, 선박회사등에 진출할 수 있다. 전파를 이용한 위성통신, 이동통신 등의 무선분야는 앞으로 계속 획기적인 발전이 예 상되며 무선설비를 이용한 통신설비의 활용·보급도 확대될 전망이어서 이에 따른 인 력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휴대폰, PCS 등 이동전화이용이 대중화 됨에 따라 이동통신회사에서 기지국을 설치 및 관리하는 인력의 수요증자가 기대되 어 매년 큰폭을 응시인원이 늘어나고 있다.

실시 기관명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기술자격본부

기관주소

https://www.cq.or.kr(KCA 기술자격본부)

CCNA

개요

CCNA는 컴퓨터 네트워킹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시행된 시스코의 기술 공인 프로그램 인 CCC(Cisco Career Certification)의 하나로 네트워크 설치 및 운영 능력을 공인하 는 자격증이다. CCC는 크게 Network Design과 Network Support의 2가지 트랙으로 구분되며 기술력에 따 라 Associate, Professional, Expert로 단계가 나누어져 있다. CCNA는 이 중에서 Netw- ork Support 트랙의 Associate 단계에 해당된다. CCNA 인증은 시스코사에서 주관하므로 시스코 장비에 대한 지식을 묻기도 한다. 그러 나 시스코 기술 인증 프로그램인 CCC의 CCNP, CCDP, CCIE 같은 상위 자격을 취득하기 전의 기본 인증이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반적 구조나 구성 요소에 대한 질문 들이 주를 이룬다. 즉, 장비에 국한되지 않고 인터넷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개념 위주의 문제가 많으며, 노드 100개 이하의 소형 네트워크 에 대한 LAN, WAN 및 다이얼 액세스 서비스를 설치, 구성 및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평 가한다.

취득방법

  • 시 행 처 : Prometric 또는 Pearson VUE
  • 시험과목 - 640-507 CCNA Exam
  • 검정방법
    • 총 65문항 - 다지선다형, Drag & Drop, 단답형 주관식(1~2문제) - 105분 (기본 75분 + 추가 30분 : 비 영어권 국가일 경우
  • 합격기준
    • 822점 합격(1000점 만점) - 시험 종료 후 즉시 확인 가능 - 합격시 자격증은 4~6주 후에 ID카드, 기타 안내서 등과 함께 등록자의 주소로 배달

출제경향

  • CCNA 2.0
    • 1) Bridging/ Switching · Static VLANS · Spanning tree · Switching modes / methods · PPP
    • 2) OSI Reference model and Layered Communication · Layer definitions · Encapsulation / De-capsulation · Layer Functions · Connection Oriented models · Connectionless models · Model benefits
    • 3) Network and WAN Protocols · TCP/IP · Novell IPX
    • 4) Routing and Network Management
    • 5) LAN Design
    • 6) Physical Connectivity
    • 7) Cisco Basics
    • 8) Internetwork Operating System (IOS)
    • 9) Network Basics

진로 및 전망

시스코 네트워크 장비를 사용하는 국내 및 외국계 IT 기업에서 네트워크 전문가로 활동 할 수 있다.

실시 기관명

시스코시스템스